성차별 3

가톨릭의 뿌리 깊은 시대 흐름과의 충돌

-- 여성은 2등 신자인가? 여성 성직자 불허 문제2000년이 넘는 가톨릭 역사에서 사제직은 오로지 남성만이 독점해왔다. 교황 프란치스코조차 2016년에 “여성은 영원히 사제가 될 수 없다”고 못 박으며, 성 요한 바오로 2세의 여성 사제 불가 방침은 “영원히 유효”하다고 선언했다. 교회 내 뿌리 깊은 성차별을 확인 할 수 있는 발언인 것이다. 가톨릭교회의 공식 입장은 예수가 남성 사도들만 세웠기에 전통을 따를 뿐이라지만, 이는 시대착오적인 변명일 뿐이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76년 교황위원회가 “여성도 사제 서품에 본질적 결격 사유가 없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음에도 이를 묵살하고 1994년 아예 이 논의 자체를 금지해버렸다. 여성 신자들은 교회 활동의 중추를 맡아 헌신하면서도, 정작 의사..

카테고리 없음 2025.05.08

가톨릭 교황의 시대착오적 여성 인식과 망언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교황의 발언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교황께서 "여성이 남성의 역할을 하려는 것은 추하다"라는 발언을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이를 둘러싼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만약 이 발언이 사실이라면, 이는 단순한 의견을 넘어 전 세계 가톨릭 신자뿐만 아니라,인류가 오랫동안 추구해온 성평등과 인권의 가치를 부정하는 매우 시대착오적인 주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여성들은 교회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지만,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경우 남성보다 하위에 있는 존재로 취급받아왔습니다.특히 중세 시대에는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극도로 제한되었고, 가정 내 종속적인 역할을 강요받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녀 힐데가르트 폰 빙엔과 같은 뛰어난 여..

카테고리 없음 2024.10.11

'디다케'로 살펴보는 올바른 신앙 생활, 로마 가톨릭에서 불가능?

최근 몇 년 동안 로마 가톨릭 교회는 내부와 외부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특히 초기 기독교 문서인 '디다케(Didache)'를 중심으로 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로마 가톨릭에서의 올바른 신앙생활이 과연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그 이유를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로마 가톨릭 교회는 신자들에게 매우 엄격한 윤리적 기준을 요구합니다.'디다케'에서 비롯된 이러한 기준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비현실적이고, 심지어 불가능한 수준의 도덕성을 강요합니다.'디다케'는 신자들에게 완벽한 정직, 순결, 그리고 타인을 비판하지 말라는 등의 높은 도덕적 기준을 설정합니다.이는 현실 생활에서 지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예를 들어, '디다케'는 거짓말과 도둑질을 철저히 금지하고, 간음을 극..

카테고리 없음 2024.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