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의 보복, 청년과 아이들은 무엇을 배우는가?
프란치스코 교황이 최근 보수 성향의 성직자들에 대해 강경한 징계를 내리며 논란이 일었다.
카를로 마리아 비가노 대주교와 레이몬드 버크 추기경이 각각 파문과 주택 및 급여 지원 중단이라는 처벌이 그것이다.
1. 비가노 대주교 파문
교황청 신앙교리부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성소수자 포용 정책과 진보적 개혁을 ‘거짓 선지자’라 비난하고
‘사탄의 하인’이라 맹렬히 비판을 해온 비가노 대주교에게 2023년 11월 5일 파문을 선고했다.
이는 가톨릭교회 내에서 가장 무거운 처벌로, 비가노는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성사에 참여할 수 없게 되었다
그가 교황의 정책을 비난하는 이유는 가톨릭의 보수적 전통을 지키려는 신념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나,
교황청은 교회의 가르침에 반하며 교황의 권위에 도전, 교회 분열 행위로 간주한 것이다.
2.버크 추기경 주택 및 급여 지원 중단 조치
미국의 레이몬드 버크 추기경에게 주택 제공 및 급여 지원을 중단하는 조치가 내려졌다.
버크 추기경은 성소수자와 이혼 문제 등에서 교황의 진보적 접근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고수해왔으며,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두비아(dubia)'라는 공식적인 질문을 던지며 교리의 방향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기도 했다.
교황청은 버크 추기경이 교회의 통합을 방해하고 분열을 조장한다고 판단해 이러한 강경 조치를 내렸다.
교황의 이러한 강경한 태도가 문제시되는 이유는 그의 행보가 단순히 반대 의견을 묵살하는 차원을 넘어,
자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이들에게 보복적 처벌을 가하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황이 자신의 정책을 비판하는 성직자들을 단호히 처벌하는 모습은 청년과 아이들에게
권위란 무조건 복종을 강요하는 것으로 인식될 위험이 크며, 비판적 사고보다는 순응을 요구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숨기는 것이 안전하다는 메시지를 줄 수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보수적 성직자들의 의견을 억누르고 강압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은 가톨릭 교회의 포용적 가치와는 상반되는 행위로 비춰질 수 있다.
교회의 포용적 가치와 새로운 가치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