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말보다는 행동이 필요하다!
10월 7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전쟁과 노동의 현실을 말하며, 고통받는 관계와 연대를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요점에서 반복되는 메시지에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움직일 수 있는 행동을 가져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습니다.
정당한 책임을 다하지 않고, 안타까움만을 표현하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습니다.
"나는 여러분과 함께합니다"라는 문구가 일곱 번이나 반복되는 연대의 의지를 표현하지만, 감정의 위로로만 그칩니다.
교황은 국제 사회와 강대국의 무능함을 반대하고 정작 자신은 대안적인 대안이나 행동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비무장 평화의 휴식"이라는 권유는 아름다운 말이지만, 스스로 직접적인 역할 특히 평화를 위한 노력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받아들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역사적으로, 교회의 연대의 메시지와 실제 행동 간의 불일치는 여러 차례 드러난 바 있습니다.
예를 들어, 르완다 대학살 당시 교황청의 대응은 매우 실망스러웠습니다.
1994년 르완다에서 벌어진 대량 학살 동안, 교황청은 이를 강력하게 규탄하지 않았고,
오히려 현지에서 일부 사제들이 학살에 가담하거나 이를 방관한 사례들이 드러났습니다.
이러한 일들은 교회의 도덕적 권위를 크게 손상시켰고,
단순한 연대의 메시지가 아니라 실질적인 행동이 필요함을 보여주었습니다.
교황의 주장은 일종의 '감언이설'로 들릴 수 있습니다.
진정으로 전쟁과 협력하는 것을 거부하고, 발언하는 것을 거부해야 합니다.
앞으로 전쟁에서 국제 사회의 연대와 지원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알 수 있습니다.
국민들은 세계에서 인도적 지원과 군사 지원을 받아 전쟁의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실제적인 지원이 없었다면, 단지 함께 일하는 것만으로도 그들의 고통을 줄일 수 있었을 것입니다.
이처럼 교황도 단순한 연대의 메시지에 머물지 않고 유일하게 동료의 구성원을 넘어, 가톨릭 교회의 능력을 활용하고 지원과 외교적 노력을 해야 될 것입니다.
교황이 비판한 "수치스러운 무능력"에 대해, 그 자신도 그러한 무능력 안에 살아있고 있는 것은 아닌지,
진정으로 평화를 유지하고, 오직 말만 할 것이 아니라, 외교적·정치적 개입과 행동이 필요합니다.
지금은 말보다 행동이 중요할 때!
